공동명의 단독명의 세금비교

 집을 살 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 중 하나가 명의를 어떻게 할까 하는 문제예요.

단독명의와 공동명의는 취득세뿐 아니라 종부세, 양도세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단점이 확실히 다릅니다.
오늘은 공동명의와 단독명의 세금 차이를 구체적으로 비교해드릴게요.


취득세 비교

취득세는 기본적으로 명의 방식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지만 지분 비율에 따라 취득세를 나누어 납부하기 때문에, 단독명의보다 공동명의가 절세에 유리한 경우도 있습니다.

  • 단독명의: 전체 취득세를 한 명이 부담

  • 공동명의: 지분만큼 나누어 취득세 납부

큰 차이는 없지만, 공동명의일 경우 추후 세금 설계에 유연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종부세 비교

종합부동산세(종부세)는 명의에 따라 세 부담 차이가 큽니다.

  • 단독명의: 공제 12억 원 (1세대 1주택자는 12억, 다주택자는 6억)

  • 공동명의: 각자 6억 원씩 공제 → 합산 시 최대 12억 원까지 절세 효과

예시) 14억 원 아파트 1채 보유 시:

  • 단독명의: 12억 공제 → 2억 원 과세

  • 공동명의: 각자 6억 공제 → 과세 표준 2억 원 동일, 다만 종부세율 적용 구간에서 유리

즉, 공동명의는 종부세 절세 효과가 크다는 게 핵심입니다.


양도세 비교



양도소득세는 매도할 때 차이가 크게 납니다.

  • 단독명의: 양도차익 전체에 대해 한 명이 과세

  • 공동명의: 양도차익을 지분만큼 나누어 과세 → 각자의 소득 구간별 세율 적용

예시) 양도차익 2억 원 발생:

  • 단독명의: 2억 전액 과세 (세율 구간 상승 위험)

  • 공동명의: 1억 원씩 나눠 과세 → 낮은 세율 적용 가능

따라서 고가 주택을 매도할 경우 공동명의가 양도세 절세에 훨씬 유리합니다.


유의할 점

공동명의가 항상 유리한 건 아닙니다.

  1.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 단독명의는 요건 충족 시 비과세 가능

    • 공동명의는 배우자 각각이 요건을 충족해야 유리

  2. 상속·증여 시 복잡성

    • 공동명의는 상속·증여 시 지분 쪼개기가 번거로움

    • 단독명의는 처리 과정이 단순

즉, 장기적인 주택 보유 계획과 가계 자산 설계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

단독명의는 단순하고 관리가 쉽지만, 세금이 한쪽에 집중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공동명의는 종부세·양도세 절세에 유리하지만, 비과세 요건과 상속 시 복잡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재 가족 소득·향후 매도 계획·상속 계획까지 고려한 명의 선택입니다.
세금만 보고 판단하기보다는 세무 전문가 상담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게 안전합니다.


Q&A

Q1. 취득세는 단독명의와 공동명의가 큰 차이가 있나요?
→ 기본 세율은 같지만, 공동명의는 지분별 납부라 부담이 분산됩니다.

Q2. 종부세는 어떤 명의가 유리한가요?
→ 공동명의가 인별 공제로 절세 효과가 큽니다.

Q3. 양도세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 공동명의는 양도차익을 나누어 과세하므로 세율 구간을 낮출 수 있어 절세 효과가 있습니다.

Q4. 공동명의가 불리한 경우도 있나요?
→ 네.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이나 상속 처리에서는 단독명의가 더 단순합니다.


다주택자 취득세 절세법 등기 순서와 취득세 영향
다음 이전